
제주도 서남단 송악산 둘레길을 걷다.
나에겐 제주도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장소가 두 군데 있는데 바로 모슬포에서 송악산을 넘어갈 때 보이는 풍경과 대평리 마을을 내려갈 때 보이는 풍경이다.
두 풍경 모두 탄성을 자아낼 만큼 대자연의 위대함을 느낄 수 있다.


절울이 오름 송악산
무더운 여름을 지나 트레킹 하기 좋은 계절이 돌아왔다. 필자는 날씨가 좋을 때는 자주 송악산 둘레길을 걷곤 하는데 자연 속에 들어가 걷다 보면 기암절벽 아래에서 들려오는 파도 소리가 내 온몸을 파고든다. 그 소리가 시원하기도 하지만 마치 슬피 우는 소리처럼 들리기도 하는데, 이곳 송악산은 파도의 울음소리 같다고 하여 절울이 오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송악산은 역사의 아픔도 간직한 곳이다. 송악산 둘레길을 걷다 보면, 일제강점기 시대에 남겨진 수많은 진지동굴을 찾아볼 수 있다.
송악산과 이어진 섯알오름에는 지난 4.3사건 때 수많은 이들이 학살 당한 학살터가 아직도 남아있다. 지금의 학살터는 기념비가 세워져 그들을 기억하고 있다.
억울한 이들이 얼마나 많았을까?
그래서 절울이는 제주어로 숨결의 울음 소리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송악산은 지난 6년간 자연휴식년제로 정상으로 가는 탐방로가 막혀 있었다. 하지만 드디어 올해 일부 구간이 개방되었는데, 그래도 최정상까지 가는 정상로는 아직 개방되지 않았고, 1년 뒤에나 개방될 듯 하다.


송악산은 정말 멋진 풍경을 많이 볼 수 있다. 초입에서 보이는 한라산과, 산방산, 형제섬 그리고 제주도 남쪽 해안은 그야말로 절경이라 우리 눈을 사로잡는다. 둘레길 중간쯤 걸을 때 보이는 기암들은 대자연의 위대함을 옆 볼 수 있고, 저 바다 멀리 대한민국 국토 최남단인 마라도와 가파도가 한눈에 들어온다.

둘레길의 마지막쯤에는 송악산이라는 이름답게 소나무가 우거진 숲길이 나오는데, 필자는 이 구간을 가장 좋아한다. 송악산이란 이름은 소나무가 많고 멀리서 보았을 때, 악어 머리모양을 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송악산은 제주도에서도 일출과 일몰 모두 볼 수 있는 멋진 명소이기도 하다. 새해가 될 때면 이곳 송악산에서 일출 축제가 열릴 만큼 많은 이들이 새해의 일출을 보기 위해 찾는 곳이자, 해질녘이면 핑크빛 노을을 감상하기 위해 또 많은 이들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 #올레길
- #트레킹
- #산책
- #오름

바다와 바람, 낯선 골목에 스며든 제주를 좋아하고, 그 안에서 느꼈던 순간들을 글과 사진으로 전하고 있어요.
여행지보다는 여행의 온도를 담는 일을 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 하세요.
정상 탐방로가 개방되었다니 조만간 한번 다녀와야겠어요~